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양아치 생각

[자기계발] 다름이라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는 이유

by eunoia53 2025. 7. 13.

목차

    사람 알아도 너무 다르다는 것이 느끼는 요즘 한번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왔습니다. 다름을 어떻게 인식하여 좋은 감정과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지 알아가고, 옳고 그름만 따지는 태도 문화에서 불순한 태도가 나타내고 시각에 따라 다름이 보이기 시작하면 이전에는 몰랐거나 주목하지 않았던 차이다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깨달음 또는 변화의 시작으로 다가옵니다.


    틀린 아이가 아니라 다른 아이 | 곽소희 세바시 - YouTube

    담임 선생님이 관심을 뒀을 때 아이는 따뜻한 시선으로 관심을 건넬 줄 아는 사람으로 자랐다는 걸 느꼈습니다. 느릴 뿐 절대 부족하지 않구나. 가능성보다 남들과 다르다는 점에만 집중할까요? 왜 다르다는 이유로 아이를 틀린 존재로 낙인 찢는 걸까요?

    여러분은 지금도 누군가의 다름을 틀림으로 오해하고 있지는 않나요? 우리 사회는 정상이라는 기준으로 아이들을 판단합니다. 하지만 그 기준이 과연 모든 아이에게 공평할 수 있을까요?

    배제하고 조금 느리면 부족하다고 말하는 그 시선이 아이들의 가능성을 가로막고 있는 건 아닐까요? 우리 아이가 자신을 사랑하며 세상 속에서 당당히 걸어갈 수 있도록 여러분이 먼저 손을 내밀어 주세요.

     

     

     

    독창성있는 전구가 코드 뽑는 그림

     

     

    정답만 찾아내려는 시선

     

    현재 첫 유아교육으로부터 사랑받고 귀하게 자라 타인 간에 다름이 보이기 시작하면, 자신과 너무 다르다는 첫 마음가짐으로부터 사람을 생각하는 성격을 나타내며, 태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다르다고 느껴집니다. 사람을 보는 방식이 다른 해석을 통해 다양하니 과정이나 다양성을 무시하고 오직 하나의 정답만을 추구하는 태도나 사고방식이 여러 주변에서 보입니다. 정답만 추구하면 창의성이나 사고의 폭을 제한적이며 복잡한 맥락을 무시하고 단일한 해결책만 요구합니다.

     

     

    다름이라는 것이 보이기 시작

     

    옳고 그름만 따지는 태도 문화에서 성과주의 혹은 권위적 사고와도 연결되어 불순한 태도가 보이며 비판하기 쉽습니다. 시각에 따라 다름이 보이기 시작하면 이전에는 몰랐거나 주목하지 않았던 차이다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깨달음 또는 변화의 시작으로 다가옵니다.

     

    • 타인의 생각, 문화, 가치관을 인정하고 이해하게 되는 순간
    •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변화의 출발점
    • 공감과 수용, 존중의 태도가 생겨나는 과정

     

    이 표현은 성장, 깨어남, 관점의 확장을 의미하며, “정답만 찾아내려는 시선과는 대조적으로 정답이 아닌 차이자체의 의미를 발견해 가는 시선을 드러냅니다.

     

    인정을 주는 교육이 시급

     

    경쟁 구도 사회에서는 성적, 결과, 비교, 경쟁하고 평가받는 교육이 아니라, 지금은 타인에게 배려와 존중, 가치를 주는인간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나눔, 공감, 배려, 협력, 책임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공동체에 이바지하는 인성을 기르는 교육이 절실합니다. 성적보다 성장을, 평가보다 관계를 가르치는 교육을 통해 배우고 세부적으로 가르쳐야 할 것은 남보다 앞서는 법이 아니라, 옆 사람의 손을 잡는 법입니다. 먼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깨달아서 인생의 의미를 찾은 후,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라는 뜻입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모든 이에게 좋은 하루를 선물하고 차츰 달라져 좋은 인생을 바꿀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다르다는 인식보단 옆 사람의 손을 잡아 이 세상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바랍니다.